美文网首页
梁惠王章句上(3)

梁惠王章句上(3)

作者: DENNIS_DAI | 来源:发表于2020-09-27 16:51 被阅读0次

梁惠王曰 寡人之於國也 盡心焉耳矣 河內凶 則移其民於河東 移其粟於河內 河東凶亦然 察鄰國之政 無如寡人之用心者 鄰國之民不加少 寡人之民不加多 何也 孟子對曰 王好戰 請以戰喻 塡然鼓之 兵刃旣接 棄甲曵兵而走 或百步而後止 或五十步而後止 以五十步笑百步 則何如 曰 不可 直不百步耳 是亦走也 曰王如知此 則無望民之多於鄰國也 不違農時 穀不可勝食也 數罟不入洿池 魚鼈不可勝食也 斧斤以時入山林 材木不可勝用也 穀與魚鼈不可勝食 材木不可勝用 是使民養生喪死無憾也 養生喪死無憾 王道之始也 五畒之宅 樹之以桑 五十者可以衣帛矣 雞豚狗彘之畜 無失其時 七十者可以食肉矣 百畒之田 勿奪其時 數口之家可以無飢矣 謹庠序之敎 申之以孝悌之義 頒白者不負戴於道路矣 七十者衣帛食肉 黎民不飢不寒 然而不王者 未之有也 狗彘食人食而不知檢 塗有餓莩而不知發 人死 則曰 非我也 歲也 是何異於刺人而殺之 曰 非我也 兵也 王無罪歲 斯天下之民至焉


양혜왕이 말했다. "과인이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는 거기에 마음을 다했을 뿐입니다. 황하의 안쪽 지방에 흉년이 들면 그 백성을 황하 동쪽 지방으로 이주시키고, 그 곡식을 안쪽 지방으로 옮겨주며, 황하 동쪽 지방에 흉년이 들어도 또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이웃나라의 정치를 살펴보면, 과인이 마음을 쓰는 것처럼 하는 것이 없는데도, 이웃나라의 백성이 더 적어지지 않으며, 과인의 백성이 더 많아지지 아니하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맹자께서 대답하셨다. "왕이 전쟁을 좋아하시니 청컨대 전쟁하는 것을 가지고 비유하겠습니다. 둥둥 북을 쳐서 병기와 칼잘이 이미 맞부딪친 후에 갑옷을 버리고 병기를 끌며 달아나는데, 어떤 자는 백 걸음을 간 후에 머물고, 어떤 자는 오십 걸음을 간 후에 머물고서, 오십 걸음밖에 도망가지 않았다는 사실을 가지고 백 걸음 도망간 것을 비웃는다면 어떻겠습니까?" "안 됩니다. 다만 백 걸음을 도망가지 않았을 뿐 또한 도망간 것입니다." "왕이 만일 이것을 아신다면 백성이 이웃나라보다 많아지기를 바라지 마소서. 농사철을 어기지 않으면 곡식을 이루 다 먹을 수 없으며, 촘촘한 그물을 웅덩이와 연못에 넣지 않으면 고기와 자라를 이루 다 먹을 수 없으며, 도끼를 알맞은 때에 산림에 들여놓으면 재목을 이루 다 쓸 수 없을 것입니다. 곡식과 물고기와 자라를 이루 다 먹을 수 없으며, 재목을 이루 다 쓸 수 없으면 이는 백성으로 하여금 산 사람을 봉양하고 죽은 사람을 장사지내는 데에 유감이 없게 하는 것이니, 산 사람을 봉양하고 죽은 사람을 장사지내는 데 유감이 없도록 하는 것이 왕도의 시작입니다. 다섯 무의 집에 뽕나무를 심으면 50세 된 자가 비단옷을 입을 수 있으며, 닭과 돼지와 개와 큰 돼지를 기르는데 그때를 잃음이 없으면 70세 된 자가 고기를 먹을 수 있으며, 백 무의 밭에 그 농사지을 때를 빼앗지 않으면 몇 식구의 집안에 굶주림이 없을 수 있으며, 학교의 가르침을 신중히 하고, 효제(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가의 우애)의 의리로써 거듭한다면 반백의 노인이 도로에서 지거나 이지 않을 것입니다. 70세가 된 자가 비단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젊은 백성이 굶주리지 않고 춥지 않게 되고서도 왕도정치를 하지 못하는 자는 있지 않습니다. 개와 돼지가 사람이 먹을 양식을 먹어도 단속할 줄 모르며, 길에 굶어죽은 시체가 있어도 창고를 열 줄 모르고, 사람이 굶어죽으면 '내 탓이 아니다. 흉년 탓이다'고 하니, 이는 사람을 찔러 죽이고서 '내 탓이 아니다. 칼 때문이다'고 말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왕께서 흉년에 죄를 돌리는 것이 없으면 곧 천하의 백성들이 올 것입니다."

相关文章

  • 梁惠王章句上(3)

    梁惠王曰 寡人之於國也 盡心焉耳矣 河內凶 則移其民於河東 移其粟於河內 河東凶亦然察鄰國之政 無如寡人之用心者 ...

  • 使民养生丧死无憾,王道之始也

    每日悟经典:使民养生丧死无憾,王道之始也。 此句出自孟子梁惠王章句上3,梁惠王问孟子,我对我的国人算是...

  • 《孟子》网络自读共学活动之四。20191.17(周四)

    今上午听了一阳老师读的《孟子旁通》两遍,晚上读了《孟子》“梁惠王章句上”一遍,“梁惠王章句下”三遍,共四个小时。 ...

  • 梁惠王章句上(4)

    梁惠王曰 寡人願安承敎孟子對曰 殺人以梃與刃 有以異乎曰 無以異也以刃與政 有以異乎曰 無以異也曰 庖有肥肉 廏有...

  • 梁惠王章句上(6)

    孟子見梁襄王 出 語人曰 望之不似人君 就之而不見所畏焉 卒然問曰 天下惡乎定 吾對曰 定于一 孰能一之 對曰 不...

  • 梁惠王章句上(5)

    梁惠王曰 晉國 天下莫強焉 叟之所知也 及寡人之身 東敗於齊 長子死焉 西喪地於秦七百里 南辱於楚 寡人恥之 願比...

  • 梁惠王章句上(7)

    齊宣王問曰 齊桓晉文之事 可得聞乎 孟子對曰 仲尼之徒無道桓文之事者 是以後世無傳焉 臣未之聞也 無以 則王乎 曰...

  • 梁惠王章句上(2)

    孟子見梁惠王 王立於沼上 顧鴻雁麋鹿曰 賢者亦樂此乎 孟子對曰 賢者 而後樂此 不賢者 雖有此不樂也 詩云 經始靈...

  • 梁惠王章句上(1)

    孟子見梁惠王 王曰 叟不遠千里而來 亦將有以利吾國乎 孟子對曰 王何必曰利 亦有仁義而已矣 王曰何以利吾國 大夫曰...

  • 《孟子•梁惠王章句上》

    孟子见梁惠王。王曰:“叟不远千里而来,亦将有以利吾国乎?” 孟子对曰:“王何必曰利?亦有仁义而已矣。王曰:‘何以利...

网友评论

      本文标题:梁惠王章句上(3)

      本文链接:https://www.haomeiwen.com/subject/xerlukt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