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文网首页
梁惠王章句上(2)

梁惠王章句上(2)

作者: DENNIS_DAI | 来源:发表于2020-09-25 13:20 被阅读0次

孟子見梁惠王 王立於沼上 顧鴻雁麋鹿曰 賢者亦樂此乎 孟子對曰 賢者 而後樂此 不賢者 雖有此不樂也 詩云 經始靈臺 經之營之 庶民攻之 不日成之 經始勿亟 庶民子來 王在靈囿 麀鹿攸伏 麀鹿濯濯 白鳥鶴鶴 王在靈沼 於牣魚躍 文王以民力為臺為沼 而民歡樂之 謂其臺曰靈臺 謂其沼曰靈沼 樂其有麋鹿魚龞 古之人 與民偕樂 故能樂也 湯誓曰 時日害喪 予及女偕亡 民欲與之偕亡 雖有亭臺鳥獸 豈能獨樂哉


맹자께서 양혜왕을 보니 왕이 연못가에 서 있다가 크고 작은 기러기들과 크고 작은 사슴들을 돌아보며 말했다. “현자도 역시 이런 것을 즐거워하십니까?” 맹자께서 대답하셨다. “현자가 된 후라야 이런 것을 즐거워할 수 있으니 현명하지 못한 자는 비록 이런 것을 가지고 있더라도 즐거워하지 못합니다. <시경>에 이르기를, ‘영대를 축성하기 시작하여 측량하고 재어보고 하자, 서민들이 와서 일하는지라 며칠 되지 않아서 완성되었도다. 측량하여 짓기 시작하자 서두르지 말게 하였으나 서민들이 아들처럼 와서 도왔도다. 왕이 영유에 계시니 사슴들이 그곳에 엎드려 있도다. 사슴들은 포동포동하고 백조들은 깔끔하도다. 왕이 영조에 계시니 아아! 가득한 고기들이 뛰노는도다.’고 하였으니 문왕이 백성의 힘으로 대를 만들고 조를 만들었으나 백성들이 그것을 기뻐하고 즐거워하여 그 대를 일컬어 영대라 하였고, 그 조를 일컬어 영조라 하여 그가 크고 작은 사슴들과 물고기와 자라를 가졌음을 즐거워하였으니, 옛사람들은 백성과 함께 즐거워하였기 때문에 능히 즐길 수 있었던 것입니다. <탕시>에 이르기를, ‘이 태양은 언제 없어질고? 내 너와 더불어 함께 망하련다.’고 하였으니 백성들이 그와 더불어 함께 망하고자 한다면 비록 대, 연못, 새, 짐승 등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어찌 홀로 즐거워할 수 있겠습니까?”

相关文章

  • 梁惠王章句上(2)

    孟子見梁惠王 王立於沼上 顧鴻雁麋鹿曰 賢者亦樂此乎 孟子對曰 賢者 而後樂此 不賢者 雖有此不樂也 詩云 經始靈...

  • 《孟子》网络自读共学活动之四。20191.17(周四)

    今上午听了一阳老师读的《孟子旁通》两遍,晚上读了《孟子》“梁惠王章句上”一遍,“梁惠王章句下”三遍,共四个小时。 ...

  • 梁惠王章句上(4)

    梁惠王曰 寡人願安承敎孟子對曰 殺人以梃與刃 有以異乎曰 無以異也以刃與政 有以異乎曰 無以異也曰 庖有肥肉 廏有...

  • 梁惠王章句上(3)

    梁惠王曰 寡人之於國也 盡心焉耳矣 河內凶 則移其民於河東 移其粟於河內 河東凶亦然察鄰國之政 無如寡人之用心者 ...

  • 梁惠王章句上(6)

    孟子見梁襄王 出 語人曰 望之不似人君 就之而不見所畏焉 卒然問曰 天下惡乎定 吾對曰 定于一 孰能一之 對曰 不...

  • 梁惠王章句上(5)

    梁惠王曰 晉國 天下莫強焉 叟之所知也 及寡人之身 東敗於齊 長子死焉 西喪地於秦七百里 南辱於楚 寡人恥之 願比...

  • 梁惠王章句上(7)

    齊宣王問曰 齊桓晉文之事 可得聞乎 孟子對曰 仲尼之徒無道桓文之事者 是以後世無傳焉 臣未之聞也 無以 則王乎 曰...

  • 梁惠王章句上(1)

    孟子見梁惠王 王曰 叟不遠千里而來 亦將有以利吾國乎 孟子對曰 王何必曰利 亦有仁義而已矣 王曰何以利吾國 大夫曰...

  • 《孟子•梁惠王章句上》

    孟子见梁惠王。王曰:“叟不远千里而来,亦将有以利吾国乎?” 孟子对曰:“王何必曰利?亦有仁义而已矣。王曰:‘何以利...

  • 孟子梁惠王章句上·第1-3节原文摘录及笔记

    今天来读读孟子。梁惠王在孟子当中扮演着重要的角色,孟在与梁惠王的对话中展现出他的理想以及观点看法。 梁惠王章句上·...

网友评论

      本文标题:梁惠王章句上(2)

      本文链接:https://www.haomeiwen.com/subject/gncfuktx.html